본문 바로가기
육아꿀팁

영유아 언어발달 단계별 특징과 늦은 말 대처법

by 육아박사 2025. 5. 29.
반응형

영유아의 언어 발달은 생후 초기부터 빠르게 진행되며, 각 시기별로 특징적인 변화가 나타납니다. 언어 발달 지연은 조기 발견과 적절한 대응이 중요하므로, 단계별 특징과 지연 시 대처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영유아 언어 발달 단계별 특징

1. 언어 표현 이전 단계 (0~12개월)

  • 0~2개월: 울음으로 의사 표현을 시작하며, 양육자의 얼굴과 목소리에 반응합니다.
  • 3~5개월: 간단한 모음 소리를 내며, 주변의 소리에 관심을 보입니다.
  • 6~12개월: 자음과 모음을 결합한 옹알이를 시작하며, '엄마', '아빠' 등의 단어를 인식하기 시작합니다.

2. 첫 낱말기 (12~18개월)

  • 의미 있는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하며, 약 50개의 단어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 간단한 지시어를 이해하고, '나가자', '앉자' 등의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낱말 조합기 (18~24개월)

  • 두 단어를 결합하여 간단한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 어휘력이 급속도로 증가하며, 약 250~300개의 단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기본 문법 탐색기 (24~36개월)

  • 3~4개의 단어로 구성된 문장을 사용하며, 명사 외에 동사, 형용사 등을 활용합니다.
  • 간단한 질문을 이해하고 대답할 수 있으며, 자신의 이름을 지칭할 수 있습니다.

5. 기본 문법 세련기 (36개월 이후)

  • 복잡한 문장을 구성하고, 억양과 문법을 보다 정확하게 사용합니다.
  •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목적 있는 대화를 할 수 있습니다.


 언어 발달 지연의 징후

  • 12개월: 옹알이를 하지 않거나, 간단한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 18개월: '엄마', '아빠' 등의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 24개월: 25개 이상의 단어를 사용하지 못하거나, 두 단어를 결합하지 못하는 경우
  • 36개월: 200개 이상의 단어를 사용하지 못하거나, 간단한 문장을 구성하지 못하는 경우

🛠️ 언어 발달 지연 시 대처 방법

  1. 일상 속 언어 자극 제공: 아이와의 대화에서 명확하고 반복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언어 자극을 제공합니다.
  2. 그림책 활용: 그림책을 통해 새로운 단어와 문장을 소개하고, 아이의 반응을 유도합니다.
  3. 놀이를 통한 학습: 노래, 손유희, 역할 놀이 등을 통해 언어 표현을 자연스럽게 유도합니다.
  4. 전문가 상담: 언어 발달 지연이 의심될 경우, 언어 치료사나 소아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평가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의 언어 발달은 개인차가 있으나, 위의 단계별 특징과 지연 징후를 참고하여 적절한 시기에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의 관심과 지속적인 자극이 아이의 언어 능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